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임대소득세 신고대상 & 과세 기준 – 소액 월세도 과세될까?

by nemamthero 2025. 7. 3.
반응형

 

임대소득세 신고 대상 & 과세 기준 (월세 받는 사람 필독)

월세를 받고 계신가요? 그렇다면 임대소득세 신고 의무를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. 2025년 기준으로 소액 임대소득도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1. 임대소득세 신고 대상

  • 월세 또는 전세보증금으로 수입을 올리는 사람
  • 임대주택 수: 1주택자라도 고가 주택이면 과세 대상
  • 2주택 이상 보유하고 월세 수입이 있는 경우 신고 필요
  • 연 임대소득 2000만 원 이하도 2020년부터 과세 대상

2. 과세 기준 (분리과세 vs 종합과세)

구분 분리과세 종합과세
대상 임대소득 2,000만 원 이하 2,000만 원 초과
세율 14% (지방소득세 포함 시 약 15.4%)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누진세율 적용
장점 간단한 계산, 세율 고정 경비·공제 활용 시 절세 가능

3. 임대소득 신고 방법

  1. ① 홈택스 접속 → 로그인
  2. ② [신고/납부] → [종합소득세 신고]
  3. ③ 임대소득 항목 선택 → 금액 입력 또는 자동 불러오기
  4. ④ 분리과세 or 종합과세 선택 후 소득공제·세액공제 입력
  5. ⑤ 납부 세액 확인 후 제출
반응형

4. 실제 예시 & 주의사항

  • 보증금 3억 이상일 경우 이자 상당액도 간주임대료로 과세
  • ✔ 무신고·누락 시 가산세 최대 20% 부과
  • ✔ 분리과세 vs 종합과세는 세액 비교 후 선택 가능
  • ✔ 주택 수 계산 시 장기임대 등록 여부도 고려
  • ✔ 전세만 받는 경우도 과세될 수 있으니 주의

▲ 맨 위로 이동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