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서울시 출산·육아 지원
- 🌟 첫만남이용권: 첫째 200만 원 · 둘째 이상 300만 원 바우처
- 🏠 주거비 지원: 무주택 출산가정 대상, 월 30만 원 × 최대 24개월
- 🍼 산후조리비 바우처 100만 원
- 🚕 임산부 교통비 바우처 70만 원 (대중교통 및 택시 포함)
- 👩⚕️ 35세 이상 고위험 임산부 최대 50만 원 추가 지원
2. 의왕시 임신·출산·육아 지원
- 🎁 임신축하금 10만 원 (상품권)
- 👶 출산장려금 (신생아): 첫째 100만, 둘째 200만, 셋째 300만, 넷째 이상 500만 원 (지역화폐)
- 🍼 산후조리비 경기도 50만 + 의왕시 50만 = 총 100만 원
- 💆♀️ 산모건강관리사 파견, 유축기 대여, 난임 시술 지원 등 포함
- 📌 신청조건: 출생 후 12개월 이내, 부모 중 한 명이 6개월 이상 거주
3. 기타 경기도 지자체 사례
- 📌 경기도 25개 시·군 출산장려금 지급 중 (20만~2000만 원; 첫째부터 넷째 이상까지 다양)
- 📌 예시: 고양시(첫째 100만, 둘째 200만, 셋째 이상 300만), 가평군(넷째 이상 총 2000만 원), 양평군(첫째 500만, 둘째 500만, 셋째 1000만, 넷째 이상 2000만 원)
- 📌 장애인 가정, 다자녀 가정 등 우대 대상 기준 다름 – 각 조례 확인 권장
4. 신청 방법 & 유의사항
- ✅ 국가·지자체 공통: 출산 후 6~12개월 내 **행복출산 통합신청 시스템** 또는 주민센터 신청
- 🖥 서울시 국가지원: 복지로·정부24
의왕시 및 타지자체: 해당 **시·군·구청, 보건소, 가족센터**에서 신청 - 📋 필요서류: 신분증, 통장사본, 출생신고서 및 임신확인서, 주민등록등본 등
- ⚠ 바우처 지원은 사용처 제한이 있으므로, 카드 연동 및 사용 기한(보통 1년 이내)에 유의
반응형
5. 요약 정리
지역 | 지원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
서울시 | 첫만남이용권, 주거비, 교통비, 산후조리비, 고위험 임산부 | 무주택·35세 이상 우대 |
의왕시 | 임신축하금, 출산장려금, 산후조리비, 산모 서비스 | 6개월 이상 거주 기준 |
경기도 타 지자체 | 출산장려금(20만~2000만 원) | 지역별 상이 · 조례 확인 필수 |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