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소득 기준별 청년 대출·지원금 요약표

by nemamthero 2025. 7. 4.
반응형

📊 2025 소득 기준별 청년 대출·지원금 요약표

#청년지원금 #소득기준표 #전세대출 #청년적금 #청년월세지원 #내일저축계좌 #2025청년정책

1. 소득 구간별 청년 지원 제도 요약

월 소득 기준
(2025년 기준)
활용 가능한 제도 주요 내용
약 120만 원 이하
(중위소득 50% 이하)
• 청년내일저축계좌
• 청년월세지원
• 생계급여/주거급여
- 3년 저축 시 최대 1,440만 원 지원 (내일저축계좌)
- 월 최대 20만 원 월세 12개월 지원
- 주거급여 연계 가능
약 120만 ~ 180만 원
(중위 50~70%)
• 청년내일저축계좌
• 청년월세지원
• 청년주택바우처 (지자체별)
- 내일저축계좌 지원금 일부 차등 지급
- 전세보증금 지원도 일부 지역 가능
약 180만 ~ 300만 원
(중위 70~100%)
• 청년월세지원
• 청년전세자금대출
• 청년희망적금
- 주거급여·월세 일부 지원
- 전세대출: 최대 2억 원, 1.2~2.4% 저금리
- 청년희망적금 가입 가능 (연소득 3,600만 원 이하)
300만 ~ 450만 원
(중위 100~130%)
• 청년전세자금대출
• 신혼부부 특별공급
• 보금자리론
- 전세대출 소득요건 초과 시 보증료 상승
- 청약 가점 대상은 유지
- 보금자리론: 소득 7천만 원 이하 신청 가능
450만 원 이상
(130% 초과)
• 민영주택 청약 일반공급
• 청년우대형 청약통장(가입자는 유지)
- 특별공급은 불가, 일반공급 추첨 참여
- 대부분의 소득기준형 지원은 제외됨

2. 실전 활용 TIP

  • ✅ **신청 전 본인 연간 총소득 기준 확인**: 건강보험료 납부 이력 + 국세청 소득금액증명 활용
  • ✅ **중위소득 비율 기준**은 정책별로 다르므로 ‘정책명 + 공고문’ 검색 추천
  • ✅ **중복 신청 여부**: 대부분 중복 가능하지만, 청년희망적금과 내일저축계좌는 중복 불가
반응형

💡 TIP 요약:
- 청년 정책은 “소득기준 + 연령 + 주거형태” 세 가지 조건에 따라 완전히 달라집니다.
- 정확한 소득 파악 후, 각 정책을 **단독 or 병행 신청**하는 것이 전략입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