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[2025 청년 월세 지원] 국토부 vs 서울시 차이 정리 & 신청 방법

by nemamthero 2025. 7. 3.
반응형

2025 청년 월세 지원 신청 방법 – 국토부 vs 서울시 차이 정리

월세가 부담되는 청년이라면 정부의 '청년 월세 지원 사업'을 꼭 확인해보세요. 2025년 현재, 국토교통부(전국)서울시에서 각각 월세를 지원하는 제도가 운영 중입니다.

 

1. 월세 지원 제도 한눈에 비교

구분 국토부 (전국) 서울시 (서울 거주자)
지원 금액 최대 20만 원/월 최대 20만 원/월
지원 기간 최대 12개월 최대 10개월
신청 시기 수시 (예산 소진 시 종료) 정기 모집 (서울청년포털 공지)
지원 방식 현금 지원 계좌 입금

2. 신청 조건 비교

🔹 국토교통부 청년 월세 특별지원

  • 나이: 만 19~34세 청년
  • 소득: 본인 월소득 약 203만원 이하
  • 재산: 본인 1.5억원 이하 / 부모 3.8억원 이하
  • 거주: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+ 월세 70만원 이하

🔹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

  • 나이: 만 19~39세 청년
  • 소득: 중위소득 150% 이하
  • 재산: 3.26억 이하
  • 거주: 서울시 전월세 거주자 (계약서 필수)
반응형

3. 신청 방법 및 준비 서류

📌 국토부 신청 방법

  1.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방문
  2. ② 온라인 신청 시 복지로 → 청년월세 특별지원 검색
  3. ③ 자격확인서 + 임대차계약서 + 통장사본 등 제출

📌 서울시 신청 방법

  1. 서울청년포털 접속
  2. ② 월세지원 신청 게시판에서 온라인 접수
  3. ③ 개인정보 동의서, 계약서, 건강보험납입확인서 등 업로드

4. 주의사항 & 유용한 팁

  • ✔ 두 제도는 중복 수령 불가 (한쪽만 신청 가능)
  • ✔ 보증금 & 월세가 기준을 초과하면 자동 탈락
  • ✔ 가족 거주지에 전입한 경우도 불인정 가능성 있음
  • ✔ 계약자는 반드시 본인 이름으로 되어 있어야 함
  • ✔ 서울시 신청은 매년 봄·가을 정기 공고 확인 필수

▲ 맨 위로 이동

반응형